공주 황새 바위
- 순교의 넋은 새가 되어
황새 바위 입구. 순례객을 맞이하시는 예수 성심상
유물 전시관 및 성지 안내소
의로운 피를 수없이 흘린 공주는 한국천주교회사 안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은 순교자들의 피가 뿌려진 거룩한 땅이요 충남 지역 신앙의 요람으로 전해진다.
공주에는 일찍부터 충청도를 관할하는 관찰사와 공주 감영이 있었다. 충청도 각 지역에서 잡혀 온 천주교인들은 공주 감영으로 이송돼 배교를 강요당하고 이를 거부할 때에는 여지없이 사형에 처해졌다.
순교자들의 마지막 발걸음. 순교터로 오르는 가파른 돌계단
공주에서 처형된 순교자들의 출신지를 보면 홍주, 예산, 해미, 덕산, 신창, 홍산, 연산, 청양, 보령, 진잠, 유구, 직산, 천안, 공주, 비인, 면천 등 충남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충북의 청주, 진천, 연풍, 옥천, 전라도의 전주, 광주, 경기도의 죽산, 포천 그리고 한양 출신의 유배 신자들 등 매우 다양하다.
공주 들머리 언덕에 위치한 이곳은 바위 위에 소나무가 밑으로 늘어져 있고 황새가 서식했다 해서 ‘황새 바위’로 불린다. 달리‘항쇄 바위’또는‘황쇄 바위’라고도 한다. 이곳의 바위가 마치 죄수들의 목에 씌우는 칼인 ‘항쇄’의 모양과 흡사하게 생겼을 뿐만 아니라 칼을 쓴 죄인들이 이 언덕 바위 앞으로 끌려 나와 처형당했기에 ‘항쇄 바위’라 했다는 설이 있다. 또 ‘황쇄’에서 ’쇄‘가 옛말로써 ’새‘와 같다고 풀이해 ’황쇄 바위‘라 부르는 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248위 찬란한 순교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돌무덤 형태의 기념 경당
248위 순교자 이름이 새겨진 경당 내부
공주 황새 바위에서 순교한 교우들 중 이름이 밝혀진 순교자들만 해도 무려 248명에 이른다. 이중 가장 널리 알려진 순교자로는 병인박해 때 공주 감영에서 문초를 받으면서 관장이 살을 물어뜯어 신앙을 증거하라고 명하자 주저 없이 제 살을 물어 뜯음으로써 배교하지 않고 신앙을 증거한 손자선 토마스 성인과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내포 지방의 사도’이존창이 있다.
제 살을 물어 뜯어 신앙을 증거하는 손자선 토마스 성인을 그린 그림
순교자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13.8m의
순교자들이 목에 씌워졌던 칼모양으로 만든 순교탑
화단으로 정갈하게 꾸며진 십자가의 길
성모님께 기도드리는 스테파노
잠시 휴식을 취하며
성당 안 제대
제대 앞 십자가
성당 내부